2023년 마틴 스코세이지(Martin Scorsese) 감독이 선보인《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Killers of the Flower Moon)》은 단순한 범죄 실화를 넘어, 미국 근대사의 어두운 진실을 정면으로 마주한 대서사시다. 1920년대 오클라호마주 오세이지(Osage) 부족의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한 이 영화는, 탐욕이 어떻게 인간성을 잠식하고, 권력이 어떻게 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지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스코세이지는 이 작품을 통해 단순히 과거의 비극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국이라는 국가가 세워진 기반 속에 감춰진 인종적 착취와 도덕적 붕괴를 날카롭게 해부한다.

1. 줄거리 요약 – 석유가 피로 바뀐 땅, 오세이지의 비극
영화의 무대는 1920년대 초, 석유가 발견되면서 부를 손에 쥔 오세이지 인디언 부족이다. 그들은 한순간에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집단이 되었지만, 그 부는 곧 저주로 변한다. 외부의 백인들이 이들의 재산을 노리며 결혼, 살해, 조작을 서슴지 않기 때문이다. 영화의 중심에는 백인 남성 어니스트 버크하트(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그의 아내이자 오세이지 여성인 몰리 버크하트(릴리 글래드스톤)가 있다. 어니스트는 삼촌인 윌리엄 헤일(로버트 드 니로)의 조종 아래 몰리의 가족을 이용하고, 그녀의 부족이 하나둘씩 죽어나가는 참혹한 사건에 휘말린다. 연쇄 살인과 음모, 그리고 정부의 침묵 속에서 오세이지 부족은 서서히 파멸로 향한다. 스코세이지는 이 이야기를 단순한 ‘살인 미스터리’로 그리지 않는다. 그는 이 사건을 통해 미국의 발전 뒤에 가려진 착취의 구조와 백인 우월주의의 잔혹한 실체를 드러낸다.
2. 연출과 영화적 표현 – 서사보다 양심을 택한 스코세이지의 시선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은 《좋은 친구들》, 《아이리시맨》 등에서 보여줬던 폭력의 미학 대신, 이번엔 도덕적 성찰과 역사적 책임을 택했다.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은 기존의 갱스터 영화처럼 자극적이지 않다. 오히려 차분하고 장대한 리듬으로 진행되며, 악이 얼마나 일상적이고 조용하게 침투하는가를 보여준다. 카메라는 사건의 중심보다는 인물의 시선, 특히 몰리의 침묵에 집중한다. 릴리 글래드스톤의 절제된 연기는 오세이지 여성의 슬픔과 강인함을 동시에 표현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피해자의 시선’으로 역사를 바라보게 만든다. 또한 스코세이지는 백인 남성 어니스트를 도덕적 회색지대에 두어, ‘악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는 명백히 가해자이지만, 동시에 시대와 욕망의 희생자이기도 하다. 음악감독 로비 로버트슨의 블루스와 전통 인디언 리듬이 어우러진 사운드트랙은, 영화 전반의 비극적 운명감과 미국적 슬픔을 한층 짙게 만든다. 이 작품에서 스코세이지는 스펙터클보다 침묵을, 폭력보다 역사의 무게를 택했다.
3. 주제 해석 – 탐욕, 권력, 그리고 인간의 도덕적 파멸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의 중심에는 탐욕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개인의 욕망이 아니라, 제도화된 탐욕이다. 백인 사회는 오세이지 부족의 재산을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의 경제적 권리를 박탈하고, 법과 종교, 결혼제도마저 도구로 이용한다. 이는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국가적 시스템이 만들어낸 폭력이다. 영화는 이 구조적 폭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도, 역사 속에서 침묵한 다수의 공범자들을 함께 고발한다. 스코세이지는 특히 결말부에서 자신이 직접 등장해 라디오 드라마 형식으로 사건의 결말을 낭독하는데, 이는 관객에게 “이 이야기를 전하는 우리는 과연 무죄인가?”라는 불편한 질문을 남긴다. 결국 이 영화는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에도 이어지는 권력과 도덕의 균열을 이야기한다. 탐욕은 여전히 존재하며, 역사는 여전히 반복된다.
결론 – 잊혀진 역사를 다시 쓰는 영화적 증언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Killers of the Flower Moon, 2023)》은 마틴 스코세이지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숙연한 작품이자, 인류의 양심을 시험하는 영화다. 그는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폭력을 미화하지 않고, 오히려 그 안에 내재한 인간의 잔혹함과 무지를 드러낸다. 세 시간 넘는 긴 러닝타임 동안 관객은 오세이지 부족의 슬픔을 목격하고, 그들의 고통이 단지 과거의 일이 아님을 느낀다. 스코세이지는 이 작품으로 “우리는 얼마나 쉽게 타인의 고통 위에 문명을 세워왔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역사를 다시 기록한다.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은 단지 실화 기반의 범죄 영화가 아니라, 인간의 탐욕이 만든 근대사적 죄의 기록이며, 우리 모두가 그 기록의 연장선 위에 서 있음을 일깨우는 거울이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추락의 해부 – 진실과 거짓, 인간 내면의 심리를 해부하다 (0) | 2025.11.10 |
|---|---|
| 바튼 아카데미 – 고독한 사람들의 따뜻한 겨울 이야기 (0) | 2025.11.09 |
| 패스트 라이브즈 – 운명과 시간의 교차점에서 피어난 사랑 (0) | 2025.11.08 |
| 바비 (2023) – 자아와 사회적 정체성의 충돌 (1) | 2025.11.08 |
| 가여운 것들 (Poor Things) – 기괴함 속의 여성 자아 탐구 (0) | 2025.11.08 |